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 실시한 금융지주회사 브랜드평판 10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하나금융지주 2위 아이엠금융지주 3위 한국금융지주 순으로 분석됐다.
빈센은 온실가스 배출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패키지형 수소연료전지·배터리 전기추진 시스템을 독자 개발했다. 해당 장비는 현재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의 안전 검증을 받고 있으며, 곧 한국선급(KR) 형식승인도 완료될 예정으로 안정성과 신뢰성이 공식 입증될 전망이다.
iM금융그룹이 한국소셜콘텐츠진흥협회 주최 ‘제15회 대한민국 SNS대상’에서 지주사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유튜브·인스타그램 채널 ‘iM타운’을 통해 금융의 딱딱한 이미지를 벗고 MZ세대와 소통하는 트렌디한 콘텐츠 전략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트립비토즈는 15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린 중동 최대 IT 전시회 ‘자이텍스 글로벌 2025(GITEX Global 2025)’ 현장에서 지능형 여행기술 기업 iOL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iM금융그룹은 iM뱅크·iM캐피탈·iM증권 등 주요 계열사를 중심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한층 강화하고 있으며, 친환경·사회공헌 활동 확대 및 ESG 체계 구축에 나섰다고 밝혔다.
iM증권은 서울·부산·대구·울산 등 전국 4개 거점을 대상으로 해외주식 투자 전략을 주제로 한 고객 세미나를 23일부터 순차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iM뱅크(아이엠뱅크, 은행장 황병우)는 환경 보호와 사회적 가치 창출 등 지속가능경영 실천을 위해 1,1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다고 밝혔다.
iM금융지주는 디지털 혁신을 앞세워 ESG 경영 강화에 나섰다. 모바일 채널과 AI 서비스, NFT 지갑 등을 기반으로 2030년까지 디지털 가입자 90%, 디지털 자산 25% 달성을 목표로 하고, 폐전자제품 재활용을 통해 환경·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황병우 iM금융지주 회장은 연말 iM뱅크 은행장 퇴임 계획을 공개했다. 그는 iM뱅크 은행장으로 시중은행 전환을 개시한 장본인이다. 황 회장은 은행 경영 세부 전략을 후임자에게 일임하고 비은행 강화에 초점을 맞춘다.
1967년 최초의 지방은행으로 출범한 iM뱅크는 지난해 5월 지방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며 또 하나의 역사를 썼다. 32년 만에 새롭게 탄생한 시중은행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은 iM뱅크는 약 1년간의 짧은 시간 안에 의미있는 변화와 성과를 이뤄내며 전국구 영업망을 갖춘 ‘100년 은행’으로서의 입지를 다져나가고 있다. 출처 : 대구신문(https://www.idaegu.co.kr)
iM금융지주가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충당금 부담 완화에 힘입어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 이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반기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를 확대하며 총주주환원율이 당초 목표치에 조기 근접할 전망이다.
iM금융그룹은 지난 29일 ‘2025년 그룹 경영진 워크숍’을 개최하고 상반기 경영 실적을 공유하며 하반기 전략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30일 밝혔다.
금융업계에선 지점 수를 앞세운 규모의 경제 전략만큼이나 비대면 서비스의 편의성도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첨단 정보기술(IT) 도입 경쟁과 맞물리면서다. 은행들은 단순히 비용 절감 문제를 넘어 생존 경쟁 차원에서 디지털 전환에 힘을 쏟고 있다.
iM금융그룹(회장 황병우)은 16일 대구 수성동 본점에서 iM뱅크(아이엠뱅크) 시중은행 전환 1주년 및 그룹 창립 14주년 기념식을 동시 개최했다.
"PF 부담 털어" 주가 6% 들썩 경기침체 여파 BNK·JB는 뚝
iM금융그룹은 지주사와 계열사 iM뱅크의 새 광고 모델로 발탁한 가수 싸이의 TV 및 유튜브 본편 광고를 공개했다고 11일 밝혔다.
DGB금융그룹이 전국구 종합금융그룹을 향한 새로운 50년의 출발점에 섰다. 상호를 DGB금융지주에서 iM금융지주로 변경하고 iM뱅크와 함께 브랜드를 일치시키며 전국구로 뻗어나갈 준비를 마쳤다.
iM뱅크가 여성 사외이사 후보를 새로 추전하며 이사회 진용을 보강했다. 정기 주주총회를 앞둔 연초가 아닌 연중에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하는 건 이례적인 행보다.
최근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DGB(iM)금융지주가 올 6월 금융지주 브랜드평판 1위에 올랐다. 하나금융, 한국금융, 신한금융지주, BNK금융지주 등 전통적으로 브랜드평판이 높은 금융지주들이 6월 지수가 하락한 데 반해 DGB금융의 브랜드평판지수는 올랐다.